반응형
1. 팔꿈치 관절을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손목을 회내(Pronation)시킨다.
2. 그 상태에서 Humeral Groove(Biceps Long head)를 촉진함과 환자의 손목(전완)을 잡고
3. 검사자의 힘에 저항하며 손목을 회외(Supination)하도록 지시한다.
4. 이때 이두건 힘줄이 Humeral Groove로부터 튕겨나간다면 (Popping) 양성
5. 튕김은 없고 통증만 있다면 이두건염 혹은 슬랩병변 의심
1. 일어선 상태에서 어깨를 90도 굴곡 + 팔꿈치는 완전히 신전시키고
2. 손목 회외(Supination)상태에서 누르는 힘에 저항하여 어깨 굴곡을 지시
3. 이번에는 손목 회내(Pronation)상태에서 누르는 힘에 저항하여 어깨 굴곡을 지시
4. Humeral Groove에 통증이 있다면 이두건병증(Biceps tendinosis) 혹은 건주위조직염(Paratendonitis)
* 건염(Tendinitis)과 건병증(Tendinosis)의 차이는?
http://cafe.naver.com/sys1422/3598
* 건주위조직염(Paratendonitis)란?
https://blog.naver.com/12mouseji/220463691758
갓구글..
반응형
'근육 연구소 자가발전소 > 건강운동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er's Test 어깨충돌증후군 테스트 (0) | 2018.06.13 |
---|---|
무릎관절의 “가쪽 곁인대(LCL) 검사” (0) | 2018.01.24 |
무릎관절의 “안쪽 곁인대(MCL) 검사” (0) | 2018.01.16 |
무릎관절의 “Lachman 검사” (0) | 2018.01.15 |
무릎관절의 “앞당김검사(anterior drawer test)” (0) | 2018.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