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 2022. 1. 24. 01:54
반응형

교정/재활 목표 설정

일반인 → 업무나 생활체육, 일상생활의 효율증가를 목표로..

엘리트 → 일반인들의 목표 + 경기력 향상 및 부상 위험 최소화할 수 있게 역학적 효율성 증가로..

 

유아기의 원초적 움직임 5가지

Ⅰ 척추를 지지대 삼아 눕기 supine support

Ⅱ 구르기 rolling

Ⅲ 바닥 밀어 올리기 pushing-up

Ⅳ 네발로 엎드리기 quadruped

Ⅴ 기어가기 crawling

성인기의 기본 움직임 패턴 5가지

Ⅰ 걷기

Ⅱ 높낮이 변화

Ⅲ 당기기

Ⅳ 밀기

Ⅴ 회전운동

교정/재활 프로그램 설정 시 위 기본적인 5가지 패턴을 우선적으로 학습해야함. 부상이나 자세 불량 등으로 인해 근불균형/관절 통증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기초 움직임 패턴의 상실이나 잘못된 보상을 처치해야하기 때문. 그 이후 인체 3가지 면 (관상면/시상면/횡단면)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움직임을 연마.

우리 몸은 결코 단독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외부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관절과 구조물들에 스트레스를 분담시킴. 때문에 운동수행능력이나 기능부전의 원인을 찾고 개선할 때 신체 전반에 걸쳐 역학 사슬을 살펴야 한다. (넓은 식견을 가지고 신체를 바라보아야 함)

 

관절중심화

'최적의 관절중심화'란 관절들이 이상적인 상태로 서로 접촉하고 근신경적 조절 또한 신체 역학 사슬 내에서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쉽게 이야기하여 주동근과 길항근, 협력근과 안정근이 적절히/올바르게 사용되어 관절 아다리가 잘 맞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고관절 신전시 관절 회전축에서 가까운 대둔근이 주동근이 되면 관절축이 유지되며 고관절 신전이 일어나지만, 관절 회전축에서 먼 햄스트링이 주동근이 되면 고관절 신전과 함께 회전축이 전방으로 이동, 대퇴골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써 장요근/대둔근은 고관절에서 서로 굴곡/신전을 맡아 길항 작용을 하는데, 이들은 관절축에 가깝게 위치해있어 수축할 경우 관절중심화 작용이 잘 일어난다. 그러나 부상 혹은 자세 불량 등으로 인해 둘 중 하나라도 작용이 억제된다면 협력근육들의 수축이 우세해지고, 이들은 고관절의 회전축을 유지하지못하고 이동시켜버린다.

마지막 쉬운 예로 회전근개 근육 약화가 있다. 특히 회전근개 중 견갑하근은 상완골을 뒤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데, 견갑하근의 작용이 억제되면 대원근/광배근과 같은 내회전 근육들이 우세해져 GH관절을 통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 근육들은 회전축에서 멀리 위치해 있기 때문에 우세할 경우 상완골(어깨 회전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특정 부위의 관절중심화작용이 상실되면 관절의 불안정성이 유발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관절 주변 협력근들이 과도하게 긴장된다.

Ⅰ 어깨 조임 shoulder gripping

광배근/대원근/소흉근/능형근은 몸통 안정화를 위해 과도하게 경직된다. 이 경우 견갑골이 하방회전되고 몸통이 경직된다. 결과적으로 걷기에서 팔의 스윙이 적절하게 일어나지 못하고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가동범위도 제한된다.

Ⅱ 몸통 조임 trunk gripping

척추기립근의 과활성화, 흉요추의 과신전을 유발한다. 외복사근이 과활성화되면 골반이 후방경사되고 체간이 굴곡되며 가슴이 아래로 떨어진다. 내복사근이 과활성화되면 흉곽은 넓어지고 확장된다. 이들은 몸통과 척추를 경직되게 만든다.

Ⅲ 고관절 조임 hip gripping

대퇴골두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고관절소켓에 과도한 압박을 일으킨다. 이 경우 한 발로 섰을 때 골반의 후방경사가 유발된다.

Ⅳ 발가락 조임 toe gripping

두 가지의 발가락 조임이 있다.

a. 갈퀴 발 toe clawing (중족지관절 신전 + 근위지절간관절 굴곡)

b. 구부러진 발 toe curling (중족지관절 굴곡 + 근위지절간관절 굴곡)

발가락 굴곡근들이 과활성화되면 발목에서 족배굴곡이 감소된다. 한 발로 서는 것처럼 균형 감각이 요구될 때 중족부나 무릎, 몸통에서 보상 작용이 일어난다.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ser/1GGD1/featured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교육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