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른쪽 복숭아뼈 앞쪽 발등 인대 파열???
오른쪽 복숭아뼈 앞쪽 발등 인대 파열???
3주 전 계단을 내려가다가 오른쪽 발이 90도로 꺾이면서;
그대로 주저 앉아 꺾인 발목을 제 몸으로 눌렀습니다.ㅜ
육중한 몸으로 발을 눌렀을 때는 엄청난 통증과 창피함(?)이 몰려왔지만
당시 잠시의 통증 외에는 그 후로 걷는데 통증이 생기거나 아프지 않아
병원을 갈 생각을 하지 않았고 튼튼한(?) 저의 발목을 자랑스러워했죠.
그리고 그날 저녁.. 집에서 아빠다리를 하려고 오른발을 왼다리 밑으로 넣는 순간..
와. 발등에서 느껴지는 엄청난 통증에 놀라게 되었고
그 후 아빠다리를 할 때마다 발등의 통증이 느껴져 2주 동안 아빠다리를 하지 않았습니다.
걷는데 전혀 문제 없고 통증도 없어서; 다만 아빠다리만 하지 못할 뿐
(가만히 발등이 펴진 상태에서는 전혀 아무 통증도 느껴지지 않지만
발등이 조금이라도 왼쪽으로 돌리면 엄청 심한 통증이 느껴졌습니다.)
일상생활에 전혀 문제가 없어서; 그대로 있다가
2주가 지나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아 병원을 갔습니다.
처음 간 병원에서는 인대가 늘어났다며 발목 보호대와 물리치료를 했는데;
발목보호대를 하는 순간;;; 발에 없어 통증이 생기면서
원래 걷는데 문제가 전혀 없는 발이 걷는데도 통증이 느껴지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느껴지는 등 변화가 생겼습니다.
낫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3일 정도 보호대를 하다
점점 통증이 심해져서ㅜ 결국 보호대를 풀고 걸었습니다.
병원에서는 별다른 말 없이 그냥 물리치료 받으면 된다는 말만;;;
결국 1주일이 지난 후 주말 집 근처 다른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봤는데
응??? 파열????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1. 계단에서 발목이 90도로 껶었고; (솔직히 발목보다는 발등이;;하하하하)
걷거나 일상생활에 전혀 문제가 없던 발등이 보호대와 치료를 받는 순간 통증이 발생했습니다.
왜 그런가요?
2. 발등에 인대가 늘어난거랑 파열된거랑 다른가요?
3. 발등 인대가 파열이라면; 원래 통증이 이렇게 없는게 맞나요?
4. 발등 인대 파열이라서 반깁스를 했는데; 왜 종아리까지 반깁스를 해야 하나요?
제가 불가피하게 운전을 해야만 출퇴근이 가능한데ㅜㅜ 종아리까지 오는 반깁스를 하니
운전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ㅜㅜ
다들 제가 인대 파열이 됐다는데; 파열이 되면 걷지 못할거라고 합니다.
근데 저는 정말 아무렇지 않았고; 걷는데 1도 통증이 없었습니다.
단지; 신발을 신을 때(그러고 보니 신발 신을 때 정말 엄청난 통증이 있었군요~ㅎㅎㅎ), 발을 돌릴 때,
엄청난 통증(?) 외에는 일상생활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2곳의 병원이 진단을 잘못한거 아닐까요??
정확한 부위는 제가 그림으로 첨부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근육 연구소입니다.
증상과 부위를 살펴볼 때 아마도 전거비인대 부분 파열이 아닐까 싶습니다. 완전 파열 유무는 방사선 촬영을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1. 계단에서 발목이 90도로 껶었고; (솔직히 발목보다는 발등이;;하하하하)
걷거나 일상생활에 전혀 문제가 없던 발등이 보호대와 치료를 받는 순간 통증이 발생했습니다.
왜 그런가요?
전거비인대 손상이 와도 일직선 보행(걷기/계단 오르기 등)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 대신 조금이라도 비틀거나 회전이 있는 동작, 관상면 상에서의 발목 움직임(회내/회외)에서는 엄청난 통증이 밀려오게 됩니다.
전거비인대 손상이 있을 경우에도 걷는 정도는 괜찮지만 뒤나 옆을 돌아보거나 물건을 건네받거나 할 때 나도 모르게 발목에서 비틀림이 생기면서 2차적인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완전한 회복(4-6주 이상)이 있을 때까지는 보조대를 차는 것을 추천합니다.
2. 발등에 인대가 늘어난거랑 파열된거랑 다른가요?
사실 인대는 신장성을 가진 조직은 아닙니다. 근육은 고무줄처럼 신장성을 가지지만 힘줄과 인대는 그렇게까지 큰 신장 능력은 없습니다. (본래 길이의 약 7~12%밖에 신장안됨) 대신 인대의 파열 정도를 통해 1도, 2도, 3도 등으로 나누게 됩니다.
심각하지 않은 인대 손상이 있을 때 의사선생님께서 일반인 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그냥 "인대가 좀 늘어났네요~"라고 하시는 겁니다. 손상 정도가 심할 경우 주변 혈관도 같이 파열되어 내용물이 쏟아져나오고, 손상 주변이 시퍼렇게 멍이 들게 됩니다.
인대가 좀 늘어났네요 → 심각하지 않은 부분 손상
인대가 파열되었네요 → 완전 파열 → 외과적 수술 필요할 수 있음(의사판단하에)
3. 발등 인대가 파열이라면; 원래 통증이 이렇게 없는게 맞나요?
1번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4. 발등 인대 파열이라서 반깁스를 했는데; 왜 종아리까지 반깁스를 해야 하나요?
제가 불가피하게 운전을 해야만 출퇴근이 가능한데ㅜㅜ 종아리까지 오는 반깁스를 하니
운전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ㅜㅜ
발목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발목이나 발등이 아닌 종아리에 붙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발부터 무릎 아래 종아리까지 움직임을 제한해야지만 추가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부분 파열된 인대가 회복될 때 거미가 거미줄을 치듯 인대가 조금씩 회복됩니다. 이때 제대로 깁스를 하지 않거나 자꾸 풀었다 했다 반복하면 인대가 원래 처음 상태처럼 이쁘게, 구조적으로 회복 되지 않고 약간 아다리가 안맞게 회복됩니다.
이렇게 안이쁘게 회복된 인대는 신장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과 안정성이 떨어져서 비슷한 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좀 불편하시더라도 완전한 회복(최소 4-6주)때 까지는 깁스를 충실히 차고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금 이쁘게 회복을 시켜두지 않으면 나중에 개고생합니다..)
완전한 회복 이후에는 계속 발목이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목 주변 근육들이 상당히 약해져있습니다. 따라서 바로 일상생활이나 운동을 시작하지 마시고 틈나는 대로 발목을 들었나 내려놨다, 좌측을 바라보았다가 우측 바라보았다가 등등 통증이나 불안감이 느껴지지 않는 선에서 근육 강화운동을 계속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wUF_cc4w-c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D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트레이닝 문의 : https://open.kakao.com/o/spmRk4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