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연구소/근육 연구소 해부학

내측 광근(Vastus Medialis, 안쪽넓은근)에 대한 모든 것

「근육 연구소」 2021. 7. 24. 17:25
반응형

2개면 bi, 3개면 tri, 4개면 quad. 허벅지 전면에 존재하는 4갈래 근육이다. 그래서 quadriceps로 불린다. 좌측 상단부터

- 대퇴직근 = Rectus(곧은) + Femoris (넓다리, femur) = 넓다리곧은근

- 중간광근 = Vastus(넓은) + Inter(사이, between) + Medius(가운데, middle) = 중간넓은근

- 외측광근 = Vastus(넓은) + Lateralis(바깥쪽) = 가쪽넓은근

- 내측광근 = Vastus(넓은) + Medialis(안쪽) = 안쪽넓은근

넓을 광(広)을 써서 광근으로 불리는데, 대퇴사두근은 우리 신체 근육 중 가장 크고 힘도 센 근육이다.


① 내측광근(안쪽넓은근, Vastus Medialis)의 생김새와 하는 일

대퇴골 전면이라기보다 측면 및 후면에서 시작한다. (대퇴골 후면의 거친면) 다른 사두근과 함께 슬개골에 붙는다. 대퇴직근과 달리 무릎 관절에만 관여하는 단일 관절이다. 수축 시 무릎 관절을 신전시킨다.

내측광근은 위 말했듯 단일 관절로써 무릎 관절의 신전을 돕지만 그 외에도 무릎 관절 자체의 안정성에 큰 기여를 한다. 내측광근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a. Vastus Medialis "obliquus"

b. Vastus Medialis "longus"

가 바로 그것이다. (좌측 그림 참조)

특히나 "obliquus"라고 불리는 '빗'안쪽넓은근은 다른 허벅지 근육들에 비해 슬개골로 접지되는 각도가 매우 크다.(약 50~55˚) 내측광근 중에서도 '빗'안쪽넓은근은 (한자어로 뭐라고 써야 할지 잘 몰라서 한글로 적음..) 총 내측광근 부피의 약 30% 정도 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무릎 관절이 접고 펴질 때 슬개골을 사선으로 당겨줌으로써 슬개골이 외측 광근에 의해 너무 과도하게 당겨가지 않고 이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무릎관절의 Screw home mechanism 참조)

무릎 관절이 신전될 때는 힘이 가장 센 외측광근에 의해 슬개골이 약간 외측+상향으로 딸려간다. (그래서 외측광근이 너무 우세하면 슬개골이 너무 딸려나가면서 무릎 내 뼈대 움직임에 문제가 생기고 이는 통증으로 발현된다.)

중앙에 있는 그림은 대퇴사두근 각자가 무릎 관절이 신전될 때 수축하며 힘을 방사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니 참조하여 보면 이해하기 쉽다.

우측 그림을 보면 내측/외측광근은 각자 슬개골 지지대를 통해 관절 주머니와 반월상연골에 부착된다. 때문에 외측/내측광근의 밸런스가 심하게 차이 나거나 특정 광근의 근육이 약화되면 무릎 통증이나 연골 손상에 직결될 수 있다.

사체 표본을 대상으로 내측광근을 절단한 결과 무릎 안정성이 평균 약 27% 소실되었다고 한다. 물론 대퇴사두근이 동일한 대퇴신경 지배(L2, L3, L4)를 받기 때문에 내측광근만 선택적인 마비를 겪는 것은 어렵지만 반대로 결과론적 관점에서 보자면 반복적인 무릎 탈구나 통증을 느낀 사람들에게서 내측광근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내측광근(안쪽넓은근, Vastus Medialis)과 관련 부상

외측광근에 문제가 생길 경우 위 말했듯 무릎 관절 자체의 안정성이 많이 떨어진다. 걷거나 달리다가 갑자기 무릎이 휘청거리거나 꺾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무릎 관절에 염증이 생긴듯 불편감을 가져오기도 한다.

지속적인 무릎 통증과 불안정성을 갖고 있다면 내측 광근의 근력과 활성도가 많이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때 보통

a. 내측광근

b. 내전근

c. 고관절 외전근

을 함께 처치한다.

내측광근(안쪽넓은근, Vastus Medialis)의 재활 운동

내전근과의 협응을 위해 밴드를 끼고 스쿼트를 실시하거나 무릎 사이에 공을 두고 브릿지, 레그레이즈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특히 걷거나 계단 내려오기 등과 같이 '감속'이 필요할 때 내측광근의 중요성이 더 커지므로 그와 비슷한 상황에 노출시키는 것도 좋다.

중앙 혹은 우측 사진과 같은 동작들도 무릎 관절이 굴곡되면서 내측광근의 신장성 수축 능력을 자극하는 운동들이다.


오늘 대퇴사두근 다 끝내려고 했는데 망함...

내일은 외측광근 ㄱㄱㄱ

근육 연구소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lTh9mTEq6r58ZLwCE8hT5gme

근육 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invvv

근육 연구소 질문 게시판 : https://cafe.naver.com/qandaboard

근육 연구소 후원 : https://toon.at/donate/63746703293535...

근육 연구소 e-mail : stinvvv@naver.com

반응형